3차원 모델로 정보 통합 관리
서울시가 발주하는 모든 공사에 스마트 건설 기술을 적용해 품질 개선에 나선다. 시는 서울형 건설정보모델링(BIM) 설계 기준을 시행하고 2030년까지 시가 발주하는 모든 공사에 해당 기술을 적용한다고 13일 밝혔다.
BIM이란 계획·설계·조달·시공·유지관리 등 건설공사 모든 단계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3차원 모델에 반영해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이다. 정보를 입체적으로 한눈에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시는 이번 달부터 대형공사를 우선으로 이 기술을 적용할 방침이다. 건설업계의 준비 상황을 고려해 공사비 300억 원 이상 사업은 2027년부터, 100억 원 이상은 2029년부터 적용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기존 공공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에도 스마트 건설 기술을 적용한다. 우선 한강 교량을 대상으로 드론 자동 측량,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유지관리 시범 사업을 실시한다. 중장기적으로는 상하수도와 공공 건축물로 확대할 방침이다.
김승원 서울시 건설기술정책관은 “서울형 스마트 건설 활성화로 인구 고령화에 따른 기술인력 부족, 낮은 생산성 등 건설산업 위기 극복을 함께할 것”이라며 “업계 부담은 최소화하고 시행 과정에서의 문제점은 모니터링하는 방식으로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이소정 기자 sojee@donga.com 동아일보